top of page

About

'스마트폰으로 예술을 하자'

김민수 Kim Minsoo, Smart Phone Photographer, Artist, Designer

 

1. ‘나는 스마트폰으로 예술을 한다’

2012년 2월 22일부터 스마트폰이라는 최첨단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일상과 풍경을 사진과 텍스트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해 나갔다. 이 작업은 현대 개념미술의 한 장르인 '데일리 아트(Daily Art)'라는 수행성(遂行性) 작업 형태를 빌린 것이었다. 디지털 사진을 하루 세 번씩, 아침 6시, 낮 12시, 저녁 6시, 일정한 시각에 매일 SNS 매체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에 시적 이미지를 함유한 짧은 텍스트인 단상(斷想)과 함께 전시하고 감상자들과 소통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꼭 만 3년이 되는 날 이 작업을 마쳤다.

이 수행성 작업을 통해 2만여 장의 사진과 2,800여 장의 예술적 결과물을 얻어 내고, 이를 토대로 두 번의 전시회를 열었다. 나아가 포토에세이 형식의 도서 「스마트폰 일상이 예술이 되다」1, 2권과 「쉽게 스마트폰 예술사진 잘 찍는 법」을 출간하고 국내 최초의 스마트폰 사진작가가 되었다. 현재는 ‘스마트폰 사진 잘 찍고, SNS 잘 하기’ 특강도 함께하고 있다.

이제는 시간과 수행성 작업에 의미를 두기보다는 사진 한 장에 선택과 집중을 하여 더욱 만족스러운 스마트폰 사진 예술에 접근하고자 한다. 융복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적 작업을 시도하면서, 더욱 깊이 사고하고 성찰하는 스마트폰 사진예술을 지향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사진 잘 찍고 SNS 잘 하기’ 특강 진행

KT '룰루낭만'원데이클래스/지능정보산업협회/전경련CEO하계포럼제주/한국능률협회제주포제주/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부산인재교육개발원/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경주국립공원/제주녹고뫼안트레센터/공군233전투탐색비행대대/강릉문화원/속초문화원/서귀포 문화원/충남충무교육원/충북혁신도시 한국소비자원/제주영천동 주민센터/제주효돈동 주민센터/원주 문막도서관/강원도인재교육개발원/고려대CEO온라인마켓팅/서귀포이중섭미술관창작스튜디오/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서귀포YWCA/제주청소년지원센터/(사)한국디지털사진가협회 작가보수 교육/국민안전처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금융결재원/KT멤버쉽 가족행사/갤럭시노트7 VIP 스마트폰 사진교육 / 엘지G4,V10 신제품 지원 엘지모바일 연구소 세미나 / 서울시립소년문화교류센터/전북 임실군립도서관/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제주자연사랑갤러리/전라북도교육연수원/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인천지역) 연수원 교육/대전 시청자미디어센터/지방행정연수원/인천국제공항청사/달성군 공무원 워크샵/광명시청/전라북도광역정신건강센터/한국능률협회/양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홍은도담도서관/ 한국 스카우트 연맹/여의도글로벌비즈니스센터/백석대학원/ 서대문 구립 이진아도서관/전라북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명지전문대 경영학과/원불교역사박물관/함평군농업기술센터/ 대한의사협회 순천․나주/아이돌 그룹 '엠펙트'/고양시청/ 세종연구소/천안시 ‘소셜미디어 서포터즈’/성북동 ‘달달한포럼’/ 고양시농업기술센터/국제구호개발 NGO 휴먼인러브/ 서대문문화원/서대문구 여성인력개발원 /한국장학재단 /신갈고등학교 외 다수 학교 멘토링수업 등 전국 100여 곳 강의 진행

 

다음(Daum)카카오 스토리펀딩 '스마트폰으로 예술을 하자’ 연재/ 제주 한라일보 ‘스마트폰 사진 기행’ 연재/일간지 ‘아시아투데이’ 칼럼 연재/두란노 '월간 아버지’ 연재 / 월간사진 '포토닷' 연

 

2. ‘찾아가는 갤러리, 다가가는 예술’ - 이동 갤러리 트럭 운영

2014년 9월 부터 '찾아가는 갤러리, 다가가는 예술' 이동 갤러리트럭을 제작하여, 작가가 관객을 기다리는 기존의 실내 전시 문화에서 벗어나 작가가 직접 대중을 찾아가 스마트폰 사진 예술을 소통하는, 새로운 개념의 옥외 전시를 시도하고 있다. 2018년에는 매주 1회 제주의 마을과 관광지를 찾아가 스마트폰 사진을 전시하고 관객들과 소통하는 ‘찾아가는 갤러리’를 진행하였다

• 다음(Daum) 브런치에 ‘찾아가는 갤러리’ 기행 연재

3. 제주의 검은 보물, 흑우를 담다 - ‘사라진 제주흑우의 비밀’

왜 유독 (제주 흑돼지, 제주마에 비해) 제주흑우는 모르는가? 이 멋지고 잘생긴 검은 소는 무슨 이유로 멸종의 위기에서 부활되고 있는가? 제주도에서 흑우의 매력에 흠뻑 빠진 나는 여러 문헌을 찾아보면서 일제에 수탈당한 흑우(黑牛)의 비극적이고 놀라운 진실과 마주하게 되었다. 그리고 1년 동안 검은 소의 미학적인 예술사진을 찍는 것에서 출발하여 진실을 추구하는 다큐멘터리 사진과 글을 기록하였다. 비록 개인의 작은 발걸음이지만 한 걸음씩 내디디며 일제강점기 멸종의 위기를 겪고 부활하고 있는 우리 토종 소인 제주흑우의 역사, 문화, 예술적 사진을 인문학적 글과 함께 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16년 3월부터 5월까지 다음(Daum) 스토리펀딩에 「제주의 검은 보물, 흑우를 담다」라는 글과 사진을 11회 연재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 이후 2016년 5월부터 현재까지 제주도와 서울에서 「사라진 제주흑우의 비밀 - 우보천리(牛步千里) 제주흑우(濟州黑牛)」라는 주제로 사진, 그림 전시를 진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제주흑우의 역사와 매력을 대중에게 널리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제주도에서 감귤창고를 업사이클링하여 작업실과 갤러리, 서귀포에 새로운 대안공간,문화예술공간 몬딱을 만들어가고 있다.

2018년 KBS 문화산책, 제주KBS '제주가 보인다' '제주MBC '속암수다', '전국시대' KCTV 제주방송 작가소개 출연 및 방송

4. 제주 ‘문화예술공간 몬딱’ 운영 

 

2017년 12월,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소재 감귤선과장을 업사이클링하여 대안공간인 ‘문화예술공간 몬딱’을 만들었다. '몬딱‘은 제주어로 모두, 다 라는 ’몽땅'의 뜻이며, 모두 다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이다.‘문화예술공간 몬딱’은​ ‘사람과 사람을 잇고, 지식과 재능을 나누며, 제주의 삶을 즐기다’라는 슬로건으로 운영 중이다. 몬딱 홈페이지 바로가기 www.monttak.net

 

• 성균관대학교 미술교육과 졸업(1992.)

• 백석대학원 미술학 박사(Ph.D.) 수료

• 국내 최초 스마트폰 사진작가/초대전/사진 책 출간

• 다수 언론매체 /인터넷포털 /사진 잡지 ‘스마트폰 사진작가’ 인터뷰

• 애플 아이폰 신제품 /LG G4, V10, G6 ,V30 스마트폰 사진 협업 및 지원 작가

•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8기 입주 작가(2017.)

• 찾아가는 갤러리(스마트폰 사진 갤러리) / 이동 갤러리 트럭 제작, 진​

• 사진전 9회「제주의 검은 보물, 흑우를 담다 - ‘사라진 제주흑우의 비밀’」(2016. 2017.)

• 그림전 2회「우보천리(牛步千里) 제주흑우(濟州黑牛)-‘남겨지는 그의 얼굴’」(2018.)


•포토에세이 ‘스마트폰 일상이 예술이 되다 1,2 권’ 출간(2013.)

•도서 ‘쉽게 스마트폰 예술사진 잘 찍는 법’ 출간(2015.)

•‘스마트폰 사진 잘 찍고, SNS 잘 하는 법’ 단체 및 기관 특강 진행 중

작업실 :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184-24 /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210-4 '문화예술창고 몬딱' 운영

핸드폰 : 010-3307-8805  

Email : minsoodesign@naver.com

5551.jpg
bottom of page